[로리더] 정혜경 진보당 국회의원은 19일 “2022년 명태균의 대우조선해양 파업 불법개입에 대해 국정조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혜경 의원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정혜경 의원실
정혜경 의원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정혜경 의원실

정혜경 국회의원은 금속노조,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명태균의 대우조선 파업 불법 개입 진상규명 국정조사 촉구 및 국민감사 추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혜경 국회의원은 “조선소 불황 시기 삭감된 임금은 최저임금이나 다를 바 없었다”며 “2022년 7월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은 목숨을 건 생존 투쟁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라고 말했다.

정혜경 의원은 “법적 교섭권이 없는 하청노동자들의 투쟁에 대우조선해양은 불법파업 운운하며 탄압하려 했다”며 “하지만, 하청노동자들의 딱한 처지가 알려지면서, 국민적 관심과 연대의 손길이 모였다. 여론의 압박을 받은 사측도 함부로 나서지 못했다”고 당시를 상기시켰다.

정혜경 의원은 “그런데, 이런 하청노동자들의 딱한 처지를 살펴야 할 대통령이 갑자기 나서서는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에 ‘불법’, ‘기다릴 만큼 기다렸다’면서 공권력 투입을 시사했다”며 “생존 투쟁을 하는 하청노동자들을 코너로 몰았다”고 윤석열 대통령을 지적했다.

정혜경 의원은 “최근 대통령실의 여론몰이의 중심에 민간인 명태균이 깊숙이 개입돼 있다는 것이 만천하에 드러났다”며 “정권 차원의 여론몰이와 탄압의 결과로, 오늘 하청노동자들은 470억이라는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2023년 한화그룹에서 인수 후 한화오션으로 사명이 변경됐다.

정혜경 의원은 그러면서 “도저히 묵과 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이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국정조사를 요구한다”면서 “국정조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은 다섯 가지 의혹”이라며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도대체 민간인 명태균씨가 누구의 지시로 대우조선해양을 방문했는지.

둘째, 대우조선 해양은 누구의 지시로 민간인 명태균에게 보고 자리를 만들었는지.

셋째, 과정에서 고용노동부 관계자의 협조는 없었는지.

넷째, 명태균은 관련 내용을 실제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는지.

다섯째, 명태균의 보고가 정부 대응기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혀야 한다.

정혜경 의원은 끝으로 “진실규명을 위한 기자님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상섭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 김은형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장,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강인석 주비회장, 유최한 조합원 등이 함께 참여했다.

[로리더 신종철 기자 sky@lawleader.co.kr]

저작권자 © 로리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