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왼쪽), 오상훈 삼성연대 의장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왼쪽), 오상훈 삼성연대 의장

[로리더] 한국노총 금속노련 김만재 위원장은 6일 “이재용 회장은 삼성그룹의 경영 상태가 넉넉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순방을 따라다니면서 비위 맞추기에 급급해 왔다”며 “대통령과 함께 떡볶이를 먹을 수 있는 시간이 있었더라면 우리와 대화할 수 있는 시간도 충분히 있었으리라 생각한다”고 노사간 대화를 촉구했다.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삼성노조연대, 의장 오상훈)는 이날 오전 11시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삼성노조연대)는 삼성디스플레이 노동조합, 삼성SDI울산 노동조합, 전국삼성전자서비스 노동조합, 삼성생명 노동조합, 삼성생명서비스 노동조합, 삼성화재 노동조합,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노동조합, 삼성카드고객서비스 노동조합, 삼성웰스토리 노동조합, 삼성에스원참여 노동조합, 삼성엔지니어링 노동조합&U(엔유) 등 11개 삼성그룹 계열사 노동조합의 연대체다.

삼성연대는 “올해로 4년째, 매년 삼성그룹과의 공동교섭을 요구해왔다”며 “계열사 사장은 결정 권한이 없고, 최종 결정은 삼성그룹에서 하므로 개별 교섭의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는 “어제 이재용 회장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며 “그 판결에 대한 정치적 해석은 따로 하지 않더라도 이제 자유로운 몸이 됐으니 노조와 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삼성연대는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2개 요구안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7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재용 회장과 직접 교섭 상견례 ▲교섭 시 대표이사 참석을 노사관계 개선 요구로 내세우는 한편, 근로조건 개선으로는 ▲2024년 공통인상률 5.4%, 성과인상률 각 사별 인상 ▲임금피크제 개선 및 정년 연장 ▲일과 삶의 균형 보장 ▲임금제도 개선 노사 공동 TF 구성 제안 ▲공정한 평가제도 도입 및 하위 고과자 임금삭감 폐지 ▲모회사ㆍ자회사 동일 처우 ▲임금ㆍ인사ㆍ평가제도ㆍ자회사 차별개선 노사 공동 TF 구성 제안 등 7개 요구안을 냈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삼성그룹노조연대 오상훈 의장은 이 자리에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삼성 이재용 회장과 직접교섭 촉구한다”는 팻말을 들고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첫 번째 발언에 나선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은 “무노조 사태를 끊고 한국노총 금속노련에서 삼성연대 조직을 발족하고, 끊임없는 공동요구안을 마련하면서 교섭을 촉구해 왔다”며 “우리 노동조합은 그동안 삼성그룹 내에서 자행됐던 각종 정치, 인권 유린을 해결하고 정상적인 노사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인내하며 대화 창구를 열기를 희망해 왔다”고 설명했다.

김만재 위원장은 “그러나 삼성그룹은 우리 노동조합과의 대화를 외면하고 있다”며 “이재용 회장은 윤석열 정권의 하수인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만재 위원장은 “삼성그룹의 경영 상태가 넉넉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순방을 따라다니면서 비위 맞추기에 급급해 왔다”며 “삼성그룹의 이재용 회장이 대통령과 함께 떡볶이를 먹을 수 있는 시간이 있었더라면 우리와 대화할 수 있는 시간도 충분히 있었으리라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만재 위원장은 “권력의 하수인이 된 이재용 회장은 지금이라도 우리 노동조합과 대화 창구를 열기를 강력히 촉구한다”며 “우리는 분명히 분노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김만재 위원장은 “삼성그룹에서 자행해 왔던 과거의 미래전략실이 어떤 행태를 해왔는지 기자들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우리 국민들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본인들에 대한 반성은커녕 이 나라 경제 제국의 핵심이라고 하는 그런 수레에서 한 치의 개선의 의지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또 김만재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은 벌써 거부권 행사를 9건이나 해왔다”며 “그중에서도 가장 친노동자적 정책 법안들을 파기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김만재 위원장은 “우리 노동자들은 22년 동안 노란봉투법 제정을 위해서 많은 희생자가 있었고, 가정이 파괴되고 조직이 무너지는 와중에도 입법을 추진해 왔다”며 “아직도 전체 산재 사망자 수 중에서 75%에 가까운 노동자들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사망하고 다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만재 위원장은 “그러나 이것을 또다시 유예하려 한다는 윤석열 정권에 맞서 우리 한국노총 삼성연대는 투쟁할 수밖에 없음을 강력히 입장을 밝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삼성연대 2024년 근로조건 및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김만재 위원장은 “올해 노사관계 개선과 실제 근로조건 개선 등 총 9가지를 삼성연대의 이름으로 입장 발표를 하고자 한다”며 “그다지 어려운 것도 아니고 사소한 문제에 있어서 삼성그룹이 전향적으로 우리 삼성연대의 요구를 들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만재 위원장은 “한국노총 금속연맹 17만 금속 동지들과 함께 연대하고 싸워나가겠다”고 결의했다.

한편 이 자리에 모인 30여 명의 삼성연대 조합원들은 다음과 같은 구호를 외쳤다.

“삼성그룹에 촉구한다! 노사관계 개선하라!”
“삼성그룹에 촉구한다! 근로조건 개선하라!”
“이재용 회장에 요구한다! 노동조합과 대화하라!”
“삼성연대 단결투쟁! 공동요구안 쟁취하자!”

[로리더 최창영 기자 ccy@lawleader.co.kr]

저작권자 © 로리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