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리더] 국가인권위원회 제8대 위원장으로 최영애(崔永愛) 전 서울시 인권위원장이 4일자 임명됐다.
최영애 신임 국가인권위원장은 오는 2021년 9월 3일까지 3년 임기로 활동하게 된다.
최영애 위원장은 서울시 인권위원회 위원장(2016. 2 ~ 2018. 8), (사)여성인권을 지원하는 사람들 이사장(2010. 9 ~ 2018. 8),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2004. 7 ~ 2007. 9) 및 사무총장(2002. 2 ~ 2004. 7), 성폭력특별법제정특별추진위원회 위원장(1991 ~ 1994), 한국성폭력상담소장(1991. 4 ~ 2001. 9)으로 활동했다.
신임 인권위원장 취임식은 오는 5일 오전 10시 인권위 청사 인권교육센터별관(11층)에서 진행 예정이다.
한편, 제7대 국가인권위 이성호 위원장 이임식은 4일 인권위 인권교육센터별관에서 열렸다.
이날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이임식에서 “우리가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제 도입이 헌재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해결의 계기를 마련했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노력이 단계적으로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공기업을 중심으로 인권경영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점 등에 대해서도 보람있게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위원장은 또 “여러분과 함께 심혈을 기울여 추진했던 인권위 헌법기관화가 무산됐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문제도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인권은 여야, 좌우를 떠나 보편적으로 추구해야 할 근본적인 가치인데도 보수, 진보의 진영 논리가 인권 현안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경제발전과 인권신장은 함께 조화시키며 추구해야 할 가치인데도 어느 한 쪽에만 치우친 생각을 가진 이들 또한 적지 않다”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그는 “여러분과 함께 제 임기 중 추진하던 일 중에서도 특히 인권기본법과 인권교육지원법, 차별금지법 제정을 비롯하여 군인권보호관 설치를 위한 위원회법 개정 등 인권보장체계를 확고하게 제도화하는 일,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혐오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일,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아 인권국가를 향한 가시적인 진전을 이루는 일 등은 비록 쉽지는 않더라도 꼭 해 내야 할 과제들”이라고 말했다.
[로리더 표성연 기자 desk@lawleader.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