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사망사고 불명예 ‘대우건설’ 최다, 현대건설, HDC산업개발 순
정준호 “산업 안전 투자를 비용이 아닌 국가와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절실”
[로리더] 최근 5년 사이 10대 건설회사에서 일어난 사고 사망자는 113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중에는 대우건설이 가장 많았고, 현대건설과 HDC산업개발, 현대엔지니어링 순이었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년~2024년) 10대 건설사에서 사고 사망자는 113명이 발생했으며, 올해에만 16명이 숨을 거뒀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2022년 이후로도 사망자 수는 전혀 줄지 않았다.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사망자 수는 대우건설이 20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위 기간 현대건설이 1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HD현대산업개발 18명, 현대엔지니어링 14명으로 뒤를 이었다. 또 포스코이앤씨 13명, GS건설 12명, DLE&C(디엘이앤씨) 11명, 롯데건설 10명, SK에코플랜트 7명, 삼성물산 5명이 숨졌다.
10대 건설사 모두 지난 6년 내 3인 이상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최근 정부는 산업재해 발생 기업에 영업 이익의 최대 5% 과징금을 부과하는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연간 3인 이상 사망자 발생 기업의 산업재해 책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준호 국회의원은 “올해 벌써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2,143억) 기준 예상 과징금은 107억에 달한다”며 “작년 5명, 올해에만 4명의 사망사고를 일으킨 포스코이앤씨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적자로, 연말까지 흑자 전환이 어려울 경우 과징금 하한액인 30억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중대재해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가장 위험한 곳이다.
한국의 2024년 산재 사망자 비율(사고사망만인율)은 1만명 당 0.39명으로, 일본(0.12), 독일(0.11), 영국(0.03)에 비해 훨씬 높다. 정부는 누구에게나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2030년까지 OECD 평균인 0.29명으로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변호사 출신 정준호 의원은 “산업 안전 투자를 비용이 아닌 국가와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