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이준형 “미디어 바우처, 신문이 아닌 기사에 지원해야”
- “종이신문 구독에 지원, 열독률 낮고 ‘지역신문발전기금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과 중복” - “지역신문 포터 입점 확대ㆍ매체별 홈페이지 활성화 시스템 구축해야” - “자체기사ㆍ지역기사에 해당하는 기사만 후원 대상 되도록 안전장치 마련해야”
[로리더] 이준형 전국언론노동조합 전문위원은 미디어 바우처 제도 도입에 대해 “지역 미디어 바우처 지원 대상과 플랫폼은 종이신문 구독이 아닌 기사에 지원하는 것이 더 나은 방식”이라면서도 “자체기사ㆍ지역기사에 해당하는 기사만 후원 대상이 되도록하는 등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미디어바우처’는 시민이 자신이 신뢰하는 언론사를 선택해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은 시민이 직접 자신이 신뢰하는 언론사를 선택해 후원할 수 있는 ‘미디어바우처 제도’ 도입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김현, 권칠승, 민형배, 박해철, 박홍근, 손명수, 송옥주, 양부남, 염태영, 이주희, 이건태, 이기헌, 추미애, 한민수, 허성무 국회의원은 지난 8월 21일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언론 정상화, 국회의 실천과제 모색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 16명의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할 정도로 미더어바우처 도입에 관심이 높다
이 자리에 토론자로 참석한 이준형 언론노조 전문위원은 ‘지역 미디어 바우처 실험을 통한 제도 검증과 정비’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준형 전문위원은 “지역신문은 지역 공동체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권력을 감시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핵심”이라면서 “지역신문의 생존은 사회의 다양성과 민주주의의 균형을 지켜내는 일이며, 중앙 언론에 과도하게 집중된 언론 시장의 영향력을 분산시키고, 여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신문 활성화는 필수적인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런데 이준형 전문위원은 “현재 지역신문은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독자 감소, 광고수익 하락, 경영 악화, 콘텐츠 신뢰도 저하라는 복합적 위기에 직면했다”면서 “2004년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이 제정되고, 기금이 운영되고는 있지만, 2005년 250억원이었던 기금은 2025년 현재 85억원으로 크게 줄었다”고 지적했다.
이준형 전문위원은 “지역신문에 대한 미디어 바우처 제도 실험의 핵심 가치는 ‘지역신문과 독자를 연결’하고, 미디어 구독ㆍ후원 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이라며 “시민들이 광고의 수용자가 아니라 구독자로서 새롭게 주체화되기 위한 발판으로 미디어 바우처가 사용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준형 전문위원은 “종이신문 구독에 미디어 바우처를 지원할 경우, 이미 배달과 유통 체계가 확보돼 있고, 지원체계도 시민이 신문사에게 주는 방식으로 간소하다”면서도 “그러나 실짉적으로 지역신문을 읽게 하는 효과가 떨어질뿐더러(종이신문 열독률 10% 안팎), 지역신문발전기금 상의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과도 중복되는 문제가 있다”고 한계를 지적했다.
이에 기사에 지원하는 방식을 추천하며 이준형 전문위원은 “포털 지역신문사 세션, 지역신문사 홈페이지 등 이미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므로, 시민 입장에서는 접근 용이성이 높다”면서 “다만, 포털에 입점한 지역신문사의 숫자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지역신문의 포털 입점을 대폭 확대하거나, 매체별 홈페이지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도 이준형 전문위원은 “(기사에 지원할 경우) 지역신문 기사 주제와 내용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기사별 후원을 받기 위한 전국 단위 정치 기사, 가십에 치중한 기사들이 늘어날 수 있고, 여성ㆍ인종ㆍ상대 진영에 대한 혐오 정서를 부추김으로써 후원을 노리는 기사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한계를 짚었다.
이준형 전문위원은 “지역 미디어 바우처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대상 기준에 맞는 지역신문으로 한정하고, 기사 단위 지원으로 설계하되, 지역신문의 포털 입점 확대 혹은 매체별 홈페이지 시스템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이준형 전문위원은 “자체기사ㆍ지역기사에 해당하는 기사만 후원 대상이 되도록 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청소년을 포함한 지역 시민에 대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강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 발제는 김위근 PUBLISH 최고연구책임자가 ‘미디어바우처를 통한 언론 후원제도’에 대해 발표했다.
토론자로는 이준형 전국언론노동조합 전문위원이 ‘지역 미디어버우처 실험을 통한 제도 검증과 정비’에 대해,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이 ‘공익 저널리즘을 위한 제도적 상상력’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로리더 최창영 기자 ccy@lawlea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