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에 피켓시위…“카카오엔터프라이즈 검색CIC 고용 불안”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검색CIC 고용불안 해결 요구” - 서승욱 카카오지회장 “불안정한 노동환경, 일방적 사업이전계획 철회해야”
[로리더]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화섬노조) 카카오지회는 지난 7월 4일과 25일,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전 의장의 SM엔터테인먼트 관련 공판이 진행되는 서울남부지방법원 앞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검색CIC 고용불안 해결을 요구하는 피켓시위를 진행했다.
또한, 카카오지회는 7월 24일에 카카오 본사 앞에서 조합원 30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피켓시위를 진행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내 검색CIC 조직은 2023년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구조조정이 시작되면서 CIC(사내 독립 기업, Company In Company) 형태로 분리됐고, 2년간 유지해오다가 지난 6월 24일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AXZ로의 법인이동을 공지했다. AXZ는 7월 카카오에서 분사한 다음포털 서비스를 운영하는 신규법인이다.
카카오지회는 “이번 분사는 과거 카카오가 진행했던 다수의 기업분할과정과 달리 분할방식을 확정하지 않고 인력의 이동을 우선 강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면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존 카카오와 업무계약이 되어 있는 검색개발사업의 이후 운영계획도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어 약 검색CIC에 속한 130명의 노동자와 관련 업무를 협업 중인 계열법인 노동자들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지회는 “카카오는 잦은 분사와 반복되는 구조조정으로 인해 고용불안이 수년간 지속되고 있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2019년 12월 카카오의 사내독립기업(CIC)이었던 AI랩이 분사하며 설립됐으며, 분사이후 만 4년이 안 된 2023년 대규모 구조조정이 진행돼 전체 인원의 50%가 넘는 노동자들이 회사를 떠나게 됐다”고 밝혔다.
카카오지회는 “결국 검색CIC는 카카오로부터 분사이후 6년이 안된 시점에 다시 분사를 강행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승욱 카카오지회장은 “경영실패 책임이 있는 경영진에게는 고문계약을 통한 보상과 계열사이동을 보장해주고, 노동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불안정한 노동환경에서는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어렵다. 일방적인 사업 이전계획을 철회하고, 고용안정을 위한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카카오지회는 7월 이후에도 김범수 전 의장의 공판 일정에 맞춰 피켓시위를 지속할 것이고, 단체행동의 규모를 확대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로리더 최창영 기자 ccy@lawlea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