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또 사망사고 안전대책 의심…허영인 회장까지 철저히 수사해야”
[로리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21일 SPC삼립 공장에서 노동자가 작업 중 숨진 사고와 관련해 “SPC에서 재발방지 약속은 했으나 또 같은 사고가 벌어졌다”며 “SPC그룹 허영인 회장까지 책임 여부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주당 을지로위원회(위원장 민병덕)는 21일 경기도 시흥시 공단1대로에 위치한 SPC삼립 시화공장을 방문해 최근 발생한 노동자 사망사고 현장을 점검하고 재발방지를 촉구했다.
지난 19일 해당 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지는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이는 2022년 평택 SPL 제빵공장, 2023년 성남 샤니 제빵공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이은 SPC 계열사 내 세 번째 사망사고로, SPC의 안전대책 실효성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을지로위원회는 이날 현장방문을 통해 사고 경위와 SPC 측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재발방지 방안을 청취했다.
민병덕 을지로위원장은 “또 한 명이 목숨을 잃었고 3년 사이 3명이 목숨을 잃었다”며 “2022년 첫 사망사고 때 1천억 안전투자를 약속했고, 지난해까지 520억을 썼다고 자랑했지만, 2020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SPC 계열사 4곳의 산업재해만 572건으로 매주 2~3건씩 사람이 다치고 있다”고 말했다.
민병덕 위원장은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있는데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며 “사고는 공장에서 났는데, 점주들이 ‘피 묻은 빵’이란 낙인을 뒤집어쓰고, 본사 대신 거리에서 사과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학영 국회부의장은 “설비가 낙후되었다. 힘들다고 하겠지만 고쳐야 한다. 사람들이 먹는 음식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이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안전투자가 적절히 안 된 것은 아닌지 설명하고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식 국회의원은 “지역구에서 이런 사고가 나서 참담하다.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정상적이지 못한 사회”라며 “철저한 조사와 유가족에 대한 성의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정식 의원은 이어 SPC그룹 허영인 회장이 직접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혜련 국회의원은 “명확한 사고원인과 재발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중대재해법 위반 여부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며 “SPC는 반복적인 사고로 환노위에서도 질책을 받았다. 허영인 회장의 국감 출석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는 수고를 안전관리에 쓰라”고 질타했다.
김현정 국회의원은 “2022년도에도 제 지역구인 평택에서 20대 여성노동자가 사망했다”며 “SPC에서 재발방지 약속은 했으나, 또 같은 사고가 벌어졌다. 대단히 유감스럽다. 안전대책을 제대로 실행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SPC 김범수 대표이사는 근로자 안전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서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에는 을지로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을 비롯해 이학영 국회부의장, 조정식ㆍ백혜련ㆍ김현정 국회의원, 김현국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국장, 안명수 경기도당 사무처장 등이 참석했으며, 박주민ㆍ이정문ㆍ김태선ㆍ이강일 의원실 보좌진도 함께 현장을 찾았다.
참석자들은 공장 내 사고지점에서 사고사를 당한 고인에 대한 묵념을 한 후 사고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SPC 측에서는 김범수 SPC삼립 대표이사, 김회성 CSO(안전경영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박갑용 한국노총 식품산업노련 위원장, 김성민 안전경영본부장 등이 참석해 사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향후 안전강화 방안을 설명했다.
현재 SPC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본사와 가맹점 간의 구조적 불균형으로 인해 소상공인 가맹점주들이 직접적인 매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병덕 을지로위원장은 “산업재해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 없이 기업 이미지 개선에만 집중하는 태도는 용납될 수 없다”며 “가맹점주의 생존권과 노동자의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기업의 구체적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민병덕 위원장은 “이번 사고에 반드시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사 대표이사는 물론, SPC그룹 총수 허영인 회장까지 책임 여부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리더 김길환 기자 press@lawlea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