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리더] 헌법재판관 및 헌법재판소장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기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공수처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김의겸 열린민주당 국회의원
김의겸 국회의원

2021년 1월 공수처법에 따라 고위공직자의 직무 관련 부정부패를 엄정하게 수사하기 위한 독립된 수사기구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출범했다.

공수처는 고위공직자 및 가족이 범한 고위공직자범죄 및 관련범죄에 대한 수사권을 갖고, 특히 대법원장 및 대법관, 검찰총장, 판사 및 검사, 경무관 이상 경찰공무원에 대해서는 공소제기와 유지 권한을 가진다.

김의겸 의원의 공수처접 개정안이 통과되면 공수처의 공소제기 대상에 헌법재판관 및 헌법재판소장이 포함된다.

공수처 출범 당시 ‘수사ㆍ재판에 관여할 수 있는 범위 및 대상에 해당되는 고위공직자는 검찰이 아닌 공수처가 직접 기소하도록’ 했던 설립취지에도 부합할 전망이다.

현행 공수처법상 공수처는 헌법재판관을 수사할 수 있지만 기소할 수는 없고, 혐의가 있을 경우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이첩해야 한다.

실제로 공수처는 지난 9월 이영진 헌법재판관의 ‘골프 접대’ 의혹을 수사하면서 “혐의가 있다고 판단하더라도 (헌법재판관을) 직접 기소하지 못하고, 검찰로 이첩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입법 미비”라는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김의겸 의원의 개정안이 통과되면 법관 및 대법관과 헌법재판관이 동일하게 공수처의 수사 및 기소 대상이 된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의겸 의원은 “최근 ‘고발사주 사건’에서도 공수처가 검찰에 이첩한 김웅 국회의원 등을 검찰이 ‘증거불충분 혐의 없음’ 불기소 처분했던 만큼, 앞으로 헌법재판관에 대한 공소권이 검찰의 자의적 판단에 좌우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수처 설립 당시 공소제기 대상에 검찰ㆍ경찰 및 법관이 포함됐던 이유는 재판에 ‘직접 관여’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헌법재판관 또한 수사ㆍ재판 과정에 관여할 수 없다고만 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있어왔다.

2012년 법조일원화제도 도입 이후 검찰 출신 법관 임용도 ▲2020년 15명 ▲2021년 11명 ▲2022년 18명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검사 출신 헌법재판관은 계속해서 임용될 수 있다.

가장 최근 예시는 4년 전 재임한 안창호 전 헌법재판관(2012년~2018년)이다. 박한철 전 헌법재판소장(2013년~2017년) 역시 검사 출신이다.

김의겸 의원은 “현행 공수처법은 헌법재판관에 대해 공수처에서 수사하더라도 기소를 위해서는 검찰로 이첩해야 했다”며 “법조계 고위공직자인 헌법재판관이 당연히 수사ㆍ재판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보완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의겸 의원은 “윤석열 정부 임기 중 헌법재판관 9명 전원에 대한 인사권을 행사하게 된다”며 “검사 출신 헌법재판관이 임용되더라도, 공수처가 기소권을 행사할 수 없다면 ‘고발사주 기소의견 뒤집듯’ 한 검찰의 ‘내 식구 감싸기’를 미연에 방지하고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의겸 국회의원은 그러면서 “공수처법 개정안을 통해 수사ㆍ재판에 관여할 수 있는 고위공직자에 대해서는 공수처가 직접 공소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한 입법취지에 맞도록 보완하고, 국가의 투명성과 공직사회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의겸 의원이 대표 발의한 공수처법 개정안은 강득구ㆍ강민정ㆍ권칠승ㆍ기동민ㆍ김승원ㆍ김종민ㆍ서영교ㆍ윤건영ㆍ윤영덕ㆍ최강욱 의원(이상 가나다순) 등 10인이 공동 발의했다.

[로리더 신종철 기자 sky@lawleader.co.kr]

저작권자 © 로리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