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리더] 한국법조인협회(회장 김기원)는 12일 “검수완박, 검찰왕국이 아닌, 배심제나 디스커버리제도를 비롯해 국민 중심 형사사법체계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대안을 정교하게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한국법조인협회(한법협)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법전원)을 졸업하고, 변호사시험(변시)에 합격한 변호사들로 구성된 청년 변호사단체다.

한국법조인협회(한법협)
한국법조인협회(한법협)

한법협은 “우리나라의 형사사법체계가 가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은 타당하다”면서도 “그러나 검찰이 수사권과 기소권을 독점한 점이 핵심적인 문제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해 보인다”고 봤다.

한법협은 “우리나라는 형사사법기관이 아니면,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이 자신의 억울함을 입증하기 위한 충분한 증거를 수집할 수 없다”며 “민사소송에서 성실한 변호사가 조력하고, 이에 판사가 호응해도, 적극적으로 수사하는 형사사법기관만큼 실효적으로 충분한 증거를 수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한법협은 “이에 형사사법기관은 충분한 증거를 수집할 수 있는 과도한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며 “때로는 이를 남용하게 된다”고 짚었다.

한법협은 “형사사법기관, 특히 수사기관이 특권적으로 증거수집권한을 갖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어느 기관에 어떤 방법으로 수사권을 분배하든 또 다른 옥상옥식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단순히 권한을 여러 기관에 나누면 나아질 것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며, ‘더 많은 견제와 감시구조’가 문제 해결의 주효한 수단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국법조인협회는 그러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공공기관인 형사사법기관이 독점한 권한을 국민들에게 개방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며 “그 일환으로 배심제와 디스커버리 제도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한법협은 “배심제도를 통해 다수의 국민들이 형사사법 권한을 행사해, 소수인 형사사법기관 구성원의 부패와 편향을 막을 수 있다”며 “디스커버리 제도는 민사소송에 참여할 인센티브를 가지는 사건 당사자가 형사소송만큼이나 실효적인 다량의 증거를 얻을 수 있게 한다”고 밝혔다.

한법협은 “국민에게 사법적 도구를 개방해 진실발견능력의 총량을 높이게 된다”고 봤다.

한법협은 “필요하다면 경찰ㆍ검찰 등 형사사법기관간의 권한을 조정하거나 배분해 더 나은 구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성급한 검수완박이 문제의 주효한 해법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한법협은 “‘옥상옥식 견제와 감시구조’가 적절한 해결책도 아니다”고 진단했다.

한국법조인협회는 그러면서 “검수완박, 검찰왕국이 아닌, 배심제나 디스커버리제도를 비롯해 국민 중심 형사사법체계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대안을 정교하게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로리더 신종철 기자 sky@lawleader.co.kr]

저작권자 © 로리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